
경남도의회가 지난해 부결처리 했던 ‘항공 정비(MRO)사업 사천 유치 대정부 건의안’을 다시 의결했다. 지난해에는 송도근 사천시장의 이른바 ‘도의원 비하발언 논란’으로 부결된 바 있다. <관련기사>
도의회는 14일 열린 제332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경제환경위원회 박정열(새누리당, 사천1)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 건의안을 의결했다.
건의내용은 우리나라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국내 유일 완제기 제작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가 있고 국내 최대 항공산업 집적지이면서 항공산업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는 사천에 항공 MRO 사업을 유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정열 의원은 “사천시는 항공기 제조산업 집적도가 생산액의 79%, 사업체수 63%, 종사자수 64%로 절대적 전국 1위 지역”이라며 “매출액 기준 국내 항공우주기업 대부분이 경남에 소재해 있어 산업인프라도 갖췄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항공 MRO 사업 대상지 선정에 있어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선정이 되도록 어떠한 정치적인 고려도 배제돼야 한다”며 “집적도와 투자효율성, 입지조건, 인력수급, 기술역량 등의 평가기준으로 정부가 입지를 선정해야 하고, 이를 충족하는 곳은 사천”이라고 주장했다.
도의회는 이 건의안을 청와대와 국회의장, 국무총리, 국토교통부장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등에 보낼 계획이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월 발표한 항공정비산업 육성 방안을 통해 전문 MRO 업체가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해 입지를 결정하면 사업부지와 정비시설 등 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설은 사업계획서를 바탕으로 한국공항공사가 국가재정법상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타당성이 있을 경우 지원한다.
아직까지 사업지원을 위한 일정이 결정되지 않은 가운데 경상남도-사천시-KAI, 충청북도-청주시-아시아나항공이 각각 손을 잡고 치열한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