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농가 소득 전년대비 1.6조원 감소
상태바
올해 쌀농가 소득 전년대비 1.6조원 감소
  • 뉴스사천
  • 승인 2010.11.26 15: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기갑 의원,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분석결과 발표

올해 쌀값 하락으로 쌀농가의 실질소득이 지난해 보다1조 6511억원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민주노동당 강기갑은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에 의뢰한 조사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강기갑 의원은 "올해 쌀 사태는 쌀가격과 생산량이 동시에 하락하는 유례없는 사태"라며, "올해 쌀농가의 실질소득(물가인상률 반영)은 직불금을 받아도 지난해 쌀값폭락때 보다도 최대 1조 6511억원이나 더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기갑 의원은 "결국 쌀값이 떨어져도 직불금(변동직불금+고정직불금)을 받기 때문에 농가경제에는 별 영향이 없다는 정부의 발표는 전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며 "직불금을 받아도 2005년 추곡수매제 폐지 이전 소득보다 쌀농가의 소득하락이 매우 심각하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수확기 쌀값이 14만원일 경우 쌀농가의 실질소득은 전년 대비 1조3826억원으로 추정했다. 수확기 쌀값을 13만5000원으로 가정할 경우, 쌀농가 실질소득은 2009년 대비 1조 6511억원(80kg 가마당 30751원)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강 의원은 쌀값 폭락의 큰 요인으로, 2005년 추곡수매제 폐지를 들었다. 추곡수매제는 수확기 홍수출하를 방지하여 가격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해왔는데, 1995년부터 추곡수매가 축소되다가 2005년 이후 완전히 폐지되어 쌀값이 매우 불안정한 구조로 변했기 때문.

또 강 의원은 추곡수매제가 마지막으로 시행되었던 2004년 쌀농가소득 대비 2005~2009년까지의 농가 실제소득 감소액 합계는 무려 9조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강 의원은 "2004년 대비, 2005~2009년까지의 쌀농가의 실질소득 감소액은 물가인상률과 생산비 증가율을 동시에 반영할 경우, 무려 8조 9871억원에 달하고 있다"고 전했다.  

강 의원은 "쌀값 문제는 농민문제이기 이전에 전국가적인 식량의 비상사태이며 이를 방기하는 것은 국가의 직무유기"라며 "정부가 책임있는 자세로 사태 해결에 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블라인드
댓글을 블라인드처리 하시겠습니까?
블라인드 해제
댓글을 블라인드 해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