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 사회적경제 탐색>이 글은 '하이에나' 시민기자가 2010년 12월에 유럽의 사회적경제 현황을 둘러보고 작성한 해외연수보고서 '유럽의 사회연대경제 조직방문 및 대안경제에 대한 탐색' 중 일부를 요약한 것으로, 매주 2편 씩 소개한다. |
역사적으로 프랑스의 사르트르라는 ‘건강한 개인’의 출현과 함께, 국가나 정당 그리고 어떠한 조직에 소속되지 않은 개인이 사회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가!라는 가능성과 함께, 우리사회도 이젠 슬픔과 분노를 넘어 희망의 눈물을 흘릴 수 있음을 안철수와 같은 수많은 ‘건강한 개인’(동무)의 탄생과 ‘시민사회의 가치’로부터 찾아진다라고 말할 수 있다. 문제는 자기주권을 주장하는 개인과 이런 개인의 발전을 추구하는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이 중요하다.
5%가 ‘반(anti)세계’가 아닌 ‘다른(autre)세계’에 대한 열망과 가능성을 담고 있다면, 그것을 모두의 노력으로 키워야한다면, 과연 “다른 세계는 ‘다른 경제’없이 가능한 것인가?”라는 프랑스의 사회학 교수인 알랭 까이에의 질문과 함께 ‘다른 경제-다른 세계’에 대한 조심스러운 길 찾기를 시도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운 좋게도 시민기자는 직장에서 ‘유럽(프랑스,벨기에) 해외연수’를 참가 동료들과 떠나게 됐다. 2010년 12월, 10일간 예정된 이 연수는 사회적 경제의 발생지라 할 수 있는 프랑스와 벨기에의 다양한 ‘사회적경제 기업’들을 방문하고 견학하는 것을 목적으로 떠났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 시장 자본주의사회는 끝이 보이지 않는 실업, 빈곤, 환경파괴, 부의 독점 등 무한경쟁에서의 승자독식 모델이 가진 폐허가 악마적 수준임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탐욕의 경제’를 깨트리고 어떻게 ‘영혼이 있는 경제’로 나아갈 것인가?라는 물음을 안고 여행을 떠나보자!
앞으로 올리게 될 기사내용의 목차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길위에서
2. 접속(connection)
-벨기에 : 시텔, 레크마, 아케스, 드푸르니교수 강의
-프랑스 : 시갈클럽, 그룹비타민T, 릴라스 오토파르나쥬, 릴시의 사회연대경제 정책, 아페스, 시민카페 등
3. 사유(thought)
① 다른경제는 가능한가? - 철학적, 경제적, 미학적 검토
② 권력에서 ‘활력’으로 - 새로운 주체의 탄생
③ 공익협동조합 - 주체의 생산양식
④ 살아있는 연대 - 다른경제의 네트워크
4. 실험(experiment)
*이 기사는 경남지역신문발전위원회 지원으로 원고료를 지급하는 기사입니다.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을"이라는 문구가 생각나네요.
함께 꿈꾸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