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선한의 영화이야기

영화 포스터.

소설을 읽다보면 영화와 같은 시각매체로 구현해보면 어떨까 하는 작품을 만날 때가 있다. 사람마다 취향과 의견이 달라서 정답은 없으나 <수상한 그녀>의 황동혁 감독에게는 김훈 작가의 ‘남한산성’이 그러했나보다. 흥미본위의 역사를 설득력마저 갖춘 미려한 문장으로 풀어내고 있으니 손만 대면 성공할 것만 같은 멋진 텍스트였을 것이다. 아무튼 이미 여러 번 흥행에 성공한 감독이 검증된 텍스트를 들고 영화를 만들겠다고 나섰고, 이병헌, 김윤석, 박해일, 고수, 박희순 등 단 한 명만 출연했어도 입소문이 퍼질 호화 배역진까지 동원되었다. 이쯤 되면 당연히 기대감이 생기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남한산성>이라는 제목도 기대감에 일조를 한다. 김훈 작가의 원작을 읽지 않은 이들에게는 1,700만 관객 <명량>과 같은 블록버스터 전쟁액션을 기대해봄직한 제목이 아닌가. 게다가 배경음악에 료이치 사카모토라는 전설적인 음악감독이 참여했다고 하니 보나마나 장면 마다 심금을 울릴 것이며, 개봉시기도 전통과 한국 영화에 대한 사랑이 샘솟는 추석연휴라 그야말로 어지간히 말아먹는 영화가 아닌 이상에 기본 흥행은 보장이 된 셈이다. 그러니까 딱 그 정도다.

액션 블록버스터를 기대했던 이들은 칼이 아니라 입으로 싸우는 장면에 배신을 당하고, 감정이입하기 좋은 영웅은 아예 등장하지도 않는다. 시대상황은 되새기고 싶지도 않은 병자호란이며, 역사가들이 말하는 독보적인 암군(暗君) 인조(仁祖)를 비롯해서 나라꼴은 뒤로 하고 개인적 신념만 강조하는 쌍욕이 나올 것 같은 역사적 인물들만 줄기차게 등장하는데, 아뿔싸! 이런 마음에 들지 않는 캐릭터들을 이른바 명배우들이 멋지게 재현해 낸다. 이럴 때 써야 하는 말이 ‘쓸데없는 고퀄’이다.

최근의 영화 트렌드를 보면 <덩케르크>처럼 판단은 관객에게 맡기고 서사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도 주목해야 할 역사적 변곡점이어야 의미가 있지 그저 굴욕의 현장을 집중 조명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영화를 보면서 역사 다큐멘터리를 기대하는 것은 아니기에 부실한 역사적 고증은 차치하더라도, 최소한 병자호란의 가장 큰 원인이 ‘명청교체기’라는 시대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던 조정 관료들의 인지부조화라는 것만 제대로 알려줬어도 이런 아쉬움은 없었을 것 같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