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쏘임·뱀물림 등 예초작업 시 따르는 위험....작은실천으로 예방

▲ 매해마다 발생하는 예초기 사고는 작은 실천으로 예방할 수 있다. 사진(위)은 성묘를 위해 벌초하는 모습. 뉴스사천 자료사진
천고마비의 계절, 가을이 다가오고 있다. 이에 가을철 자주 발생하는 예초기 사고와 벌쏘임, 뱀물림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산에는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이곳저곳에서 예초기 모터 소리가 울린다. 그리고 이 시기마다 나오는 단골뉴스가 있다. 바로 예초기 사고다.

조상님을 모시려다 되레 조상이 되는(?) 사고를 방지하려면 어떻해야 할까?

예초기 사용자는 작업 전 보안경, 장갑, 장화 등 안전장구를 필히 착용하고, 예초기 보호덮개 부착 및 각 부분 볼트, 너트, 칼날의 조임 상태를 점검한다.

또, 작업시작 전에 벌초 장소 내 벌집이나 뱀이 있는 지 먼저 확인하고 지형을 익힌다. 이어 반경 15m 이내 사람이 접근하지 않도록 알린다. 작업을 중단하거나 이동할 때는 예초기를 끄고 이동한다.

만약 예초기로 인한 사고가 났다면 이렇게 대처하자!

예초기로 인해 이물질이 눈에 들어갔을 경우, 눈물이 나도록 눈을 깜빡거려 이물질이 빠져나오도록 해야한다. 손으로 눈을 비비면 이물질이 더 깊숙이 들어가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예초기 칼날에 의해 상처가 났다면, 상처부위에 소독약을 바른 뒤, 천으로 감싸고 병원으로 간다. 만약 신체 일부가 예초기로 인해 절단됐다면, 상처 부위에 지혈을 하고 절단된 부위는 식염수에 씻는다. 이어 절단 부위를 멸균거즈로 싸고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용기 포장 후 물과 얼음을 채워 신속히 병원으로 간다.(현장에 소독약과 식염수 등을 어찌 구하느냐는 반문이 있을 법 하다. 하지만 구급약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얘기다.)

벌초에 또 하나 조심해야 할 ‘벌쏘임’이나 ‘뱀물림’은 어떤 예방법과 대처법이 있을까?

▲ '벌쏘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벌초 전 벌집의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사진(위)은 말벌집. 사진출처: 네이버백과사전
‘벌쏘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벌을 자극할 수 있는 강한 냄새가 나는 제품(향수, 화장품, 헤어스프레이 등)사용을 자제한다. 옷은 밝은 색 계통을 피하고, 맨살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게 좋다.

초행길이나 수풀이 우거져 있는 곳이라면, 지팡이나 긴 막대를 이용해 벌집이 있는지 확인한다. 벌집을 발견했다면 보호 장구를 착용 후 스프레이 살충제를 사용해 벌집을 제거한다. 힘들 경우 119에 신고한다.

부주의로 벌집을 건들었다면, 제자리에서 가능한 낮은 자세를 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벌에 쏘였을 경우, 벌침을 카드로 밀어 뽑아낸 뒤 얼음찜질을 한다. 이어 진통소염제나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른다. 응급약품이 없다면 식초 및 레몬주스를 발라 응급조치를 하는 것도 좋다.

벌침은 사람 체질에 따라 과민성 반응이 올 수도 있다. ‘벌쏘임’으로 쇼크나 호흡곤란이 발생하면 먼저 119신고한다. 그 후 그늘진 곳으로 옮겨서 꽉 조이는 옷을 푼 뒤 인공호흡을 한다.

▲ 벌초시 '뱀물림'을 예방하려면 두꺼운 등산화나 목이 긴 장화를 신어야 한다. 뉴스사천 자료사진
‘뱀 물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꺼운 등산화나 목이 긴 장화를 착용한다. 잡초가 많아 길이 보이지 않을 때는 지팡이나 긴 장대로 미리 헤쳐 뱀의 유무를 확인한다.

뱀에 물렸을 경우, 뒤로 누워서 안정을 취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물린 부위가 통증과 함께 부풀어 오르면 물린 부위에서 위쪽(심장쪽)으로 끈이나 고물줄로 묶어 독이 몸에 퍼지지 않게 한다. 이후 신속히 병원으로 이동한다. 병원 이동시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카메라로 뱀을 찍는다. 뱀 사진을 의사에게 보여주면 정확한 해독제로 신속히 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독사는 머리가 삼각형이고 목이 가늘며, 물리면 두 개의 독니 자국이 나타난다)

마지막 주의사항! 뱀에 물린 부위에 입으로 독을 빨아내는 방법은 입에 상처가 있거나 충치가 있으면 매우 위험하다.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