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유역별 댐 하류 수해원인 조사용역 본격 추진
6개월 걸쳐 홍수피해 현황과 댐 운영 관리 등 분석

지난 8월 남강댐 홍수방류로 온갖 쓰레기가 사천만으로 떠내려왔다. 당시 큰 피해를 입은 죽방렴 모습.(사진=뉴스사천 DB)
지난 8월 남강댐 홍수방류로 온갖 쓰레기가 사천만으로 떠내려왔다. 당시 큰 피해를 입은 죽방렴 모습.(사진=뉴스사천 DB)

[뉴스사천=강무성 기자] 지난해 8월 집중호우 당시 큰 피해가 발생했던 남강댐, 합천댐, 섬진강댐, 대청댐, 용담댐의 하류 지역 수해원인 조사가 올해 본격 진행된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28일 금강유역환경청에서 5개 댐 하류지역 주민대표, 광역지자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0년 댐하류 수해원인 조사를 위한 상호협력’ 협약식을 가졌다. 

이 협약에 따라 정부는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해 댐·하천 등 홍수피해 원인 전반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조사협의회는 조사 전 과정에 대한 자문·감독 등에 참여하고, 용역 보고서 등을 검토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각 기관과 피해주민 대표는 조사용역 결과와 조사협의회 운영규정을 최대한 존중하고, 조사용역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키로 했다. 

합천·남강댐 조사협의회의 경우, 정부 추천 전문가 3명, 지자체 추천 전문가 3명, 주민대표 3명 등 총 9명이 참여하고 있다. 합천·남강댐 조사협의회 위원장은 이상호 부경대학교 교수가 맡았다. 이 외에 섬진강댐은 21명, 용담·대청댐은 18명으로 조사협의회가 꾸려졌다. 

조사용역을 맡은 용역업체는 약 6개월 간 유역·하천·댐 관련자료 조사, 홍수피해 현황 조사, 강우·홍수위, 댐 운영 분석, 종합 결론, 대책 마련 등 과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피해조사 용역과 관련해, 어민들의 일부 반발 목소리도 나왔다. 어민들로 구성된 신 남강댐어업피해대책위원회(위원장 백인흠)은 댐 하류 피해조사협의회에 지역어민들이 배제됐다며 정부를 규탄하고 나섰다. 이들은 1월 11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일정을 미뤘다. 이들은 “남강댐 방류로 지역 어민들의 피해가 막심한 상황이지만 정부가 당사자인 어민들을 무시하고 있다”며 “조사협의회에 어민 대표를 포함시켜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사천시는 앞서 합천·남강댐 조사협의회 사천 주민대표로 김규헌 시의원을 이미 추천한 상태로 어민들의 요구에 난감함을 표했다. 여기에 합천.남강댐 조사협의회 한 주민대표는 "사천 주민대표는 그동안 한 번도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다른 지역보다 인원이 적은데 참석율마저 떨어져, 참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김규헌 시의원은 “지난해에는 의회 일정과 댐 관련 회의가 일정이 겹쳐 타 지역서 열리는 회의에 참석하지 못했지만, 이제 피해 조사 용역이 본격 시작된 만큼 조사협의회 일을 꼼꼼하게 챙겨볼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용역 결과는 빠르면 6~7월쯤 조사결과가 나올 예정으로, 남강댐 피해와 관련한 구체적인 데이터와 대책 마련이 나올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남강댐은 지난 8월 집중호우 당시 사천만 방면으로 초당 5400톤 가까운 물을 방류했다. 이로 인해 남강댐 제수문 아래와 가화천 주변 곳곳에 침수피해가 일어났다. 축동면 용수마을과 관동마을, 곤양면 가화마을 일부는 농경지뿐 아니라 주택까지 물에 잠겼다.  남강댐에서 쏟아진 강물로 사천만 바다는 며칠 동안 ‘염도 0’에 가까운 상태가 됐다. 사천의 바다에서 나던 바지락이 거의 폐사했고, 다른 어자원에도 심각한 타격을 줬다. 강물에 함께 떠내려 온 온갖 쓰레기는 항구와 죽방렴 등을 뒤덮어 2차 피해를 낳았다. 피해는 사천에 그치지 않고 남해까지 이어졌다. 어민들은 수차례 남강댐지사 등을 항의 방문했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