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1000년 소나무의 늠름한 기상

소나무는 절개와 굳셈의 상징으로 우리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과 함께 해 왔다.
남산 위의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애국가 2절에서도 소나무의 기상을 우리 민족의 기상에 비유하면서 칭송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태백준령에 장엄하게 서 있는 소나무를 미리 궁궐목으로 지정하여 엄격히 관리하였으며 함부로 소나무를 베어내면 엄벌에 처했다.

오늘 날도 제법 그럴 듯한 집이면 정원에 운치 있는 소나무 몇 그루쯤은 조경의 기본 중에 기본이다.

소나무는 생명럭이 강해서 척박한 땅에서도 굳건히 뿌리를 내리는가 하면, 굽이치는 모습에서 조형의 아름다움을 감상한다.
▲ 소나무의 강인한 생명력. 바위틈에 뿌리를 박고.
▲ 흙 한 줌 없는 바위 위에서도 자라고 있다.

그렇게 굳건한 소나무가 요즘은 영 맥을 못 추는 느낌이다.
안타깝게도 소나무의 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다. 인위적인 벌목으로 소나무를 베어내고 그 자리에 편백나무 등을 식재하는 사업을 벌이기도 한다.
다행히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수령이 오래된 소나무를 보호수나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각별히 보살피고 있어 다소나마 안심이다.
그리고 야산의 소나무 숲을 보호하고 가꾸어서 시민들의 여가와 휴식의 장소로 이용하기도 한다.
우리 고장의 대표적인 자연 소나무 숲으로 다솔사 입구의 울창하고 곧은 소나무를 꼽을 수 있다. 소나무가 뿜어내는 방향물질(피톤치드)는 다른 활엽수의 그것보다 특히 건강에 이롭다 하여 많은 이들이 이 소나무 숲을 즐겨 찾는다.

그러나 기후 변화와 병충해로 인하여 지금과 같은 소나무의 생육상태가 지속되면 앞으로 50년 뒤에는 남한에서, 100년 뒤에는 한반도에서 소나무가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 현재의 산림 생태계를 그대로 두고 인간이 간섭하지 않는다면 기후 변화로 인하여 소나무 숲은 난대 활엽 교목으로 교체되고, 각종 병충해로 소나무 숲은 사라진다고 한다.
소나무가 살지 못하는 이 땅에,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하게 될까?

여기 늠름한 지리산 소나무 한 그루가 있어 그 위용을 알린다.
▲ 지리산 천년송의 위용
▲ 하늘을 찌를 듯한 위용에 압도당한다.

지리산 속, 구름도 누워 쉬어 간다는 와운(臥雲)마을(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 와운마을)이 해발 600m 고지에 동그마니 자리하고 있다. 지리산 주봉 중 명선봉에서 동북쪽으로 힘찬 와운 능선을 이뤄 오다 이 곳에서 한 번 긴 숨을 토하듯 매듭을 짓고 이후 3km의 장쾌한 계곡(뱀사골)을 이뤄 반선으로 빠진다. 여느 첩첩 산속 마을과는 달리 찾는 이가 많고 따라서 그윽한 산속 풍경을 그리고 오는 이에게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민박 간판을 내건 현대식 2층 통나무 집이어서 다소 어리둥절함을 주기도 한다.

바로 이 곳에 장엄한 노송 한 그루가 마을의 수호신으로 숭앙 받으며 오래 세월 모진 풍파를 이기며 꿋꿋이 서 있다.

이 나무는 와운 마을 뒷산에서 임진왜란 전부터 자생해 왔다고 알려져 있으며 20m의 간격을 두고 한아시(할아버지)송과 할매(할머니)송이 이웃하고 있는데, 이중 더 크고 오래된 할매송을 마을주민들은「천년송」이라 불러오며 당산제를 지낸다. 신인합일제(神人合一祭)의 의식으로 천년송 당산제를 모시는 것이다.

매년 정월 초사흘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당산제의 제관은 섣달 그믐날부터 외부 출입을 삼가고 뒷산 너머의 계곡(일명 산지쏘)에서 목욕재계 하고 옷 3벌을 마련, 각별히 근신을 한다고 한다.

당산제를 마치고 나면 풍물패가 온 동네를 돌면서 흥을 돋우고 씻김굿과 사물놀이가 진행된다.
그리고 와운 마을에서는 소나무 바람을 태아에게 들려주는 솔바람 태교가 전해 온다.
▲ 천년 송의 밑둥.

▲ 중간 부분
▲ 윗 가지

천년송에 서면 멀리 서쪽 끝으로 서북릉 중심축인 명선봉 줄기가 아득하게 보이고, 남쪽으로 영원령이 굽이굽이 넘어 간다. 눈 아래에는 지리산과 이 나무에 기대어 사는 와운의 집들이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가구수는 겨우 10여 집.
▲ 아득히 산 능선이 영원령. 할아시 나무에서 본 모습

지리산 와운 천년송은 수령 약 500~ 600여 살로 추정되며, 높이는 20m, 가슴높이의 둘레는 6m이며, 사방으로 뻗은 가지의 폭은 12m에 달한다.
마을의 주민이 이 나무를 보호 관리하고 있어 상태가 좋고 수형 또한 매우 아름답다.
▲ 뒷면에서 본 모습
▲ 할아시 나무. 할머니 나무에서 위로 약 20m지점에 위치. 규모는 할아시 나무에 비해 매우 작다.
▲ 할아시 나무 등걸에서 본 쳔년송.

충북 보은 속리산의 정 2품 송이 한 때 생육이 원활하지 못해 수액 링거를 맞고 회생의 길을 찾았다고 한다.
그리고는 그 훌륭한 유전인자를 보존하기 위해 종자를 받아 2세 소나무를 육종했다.
앞으로 다가올 급격한 기후변화에 적응하면서 재선충과 같은 병충해에도 덜 피해를 입는, 강인하고 아름다운 소나무를 개발해야 할 때다. 우리의 발달된 식물 유전학과 육종 기술로 이 일은 어렵지 않게 해 낼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전국에 흩어져 있는 혈통 좋은 소나무의 후세 보존을 위해 각별한 정책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