⑧ 사천문화재 속 숨은 이야기
국립진주박물관이 4월 16일부터 7월 30일까지 제12기 박물관대학을 운영한다. 주제는 ‘사천(泗川)’이다. 본촌리 유적과 이금동 고인돌 등 청동기시대에서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사천 3000년의 역사를 아우른다. 뉴스사천은 박물관의 협조로 강의내용을 정리해 지면에 옮긴다.(편집자주)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다음 각 호의 것을 말한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각호에는 크게 네 가지가 있다.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가 그것이다. 그 개념을 일일이 나열하기엔 지면이 부족할 일이나 문화재를 좀 더 이해하는 뜻에서 조금 더 쫓아보자. 유형문화재란 건조물, 고문서, 회화,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무형문화재란 연극, 음악, 무용, 놀이, 의식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을 말한다., 기념물이란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경관이 뛰어난 것, 동물과 식물, 지형, 지질 등 생물학적으로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을 말한다. 민속문화재에는 의식주, 생업, 신앙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과 이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이 포함된다.
문화재를 지정권자에 따라 분류하면 문화재청장이 지정하는 국가지정문화재와 광역단체장이 지정하는 도지정문화재로 나눌 수 있다. 국보, 보물, 중요무형문화재,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중요민속문화재, 등록문화재가 국가지정이요,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는 도지정이다.
이쯤에서 질문 하나를 던져보자. 만약 야외 활동 중 천연기념물에 해당하는 수리부엉이나 사향노루 같은 동물이 다치거나 죽어 있으면 어떻게 조치해야 할까? 해당 지자체의 문화재담당부서에 신고하는 것이 정답이다. 김상일 학예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물은 그 자체로 문화재이기에 섣불리 처리했다간 실정법(=문화재보호법)을 위반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사천시에는 얼마나 많은 지정문화재가 있을까?
사실 다른 지자체에 비하면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경남도 전체 문화재가 1718개인 데 비해 사천에는 딸랑 50개가 있으니 3%에 불과하다. 그 중 국가지정문화재도 6건(=보물 1건, 천연기념물 2건, 사적지 1건, 무형문화재 2건)에 그치니 대단히 가치 있는 문화재라고 말하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선 보기 드문, 독특한 문화재란 점이 특징이다.

그밖에 곤양면 성내리에 있는 비자나무(제287호)와 신수동 아두섬 공룡화석산지(제474호)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고, 진주삼천포농악(제11호)과 가산오광대(제73호)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2000~2300년 전에 국제 무역항으로 이름 날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늑도 유적지는 사적지(제450호)다. 이상이 국가지정문화재들이다.
이 가운데 늑도 유적지는 출토유물이 1만3000여 점에 이르렀다는 점에서, 또한 특이한 유물이 많았다는 점에서 학계를 놀라게 했다.(관련기사 : 2015년 5월 7일자 12면, 국제무역항 늑도 참조) 진주삼천포농악은 지난해 유네스코문화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비록 국가지정문화재는 아니지만 의미 있는 도지정문화재도 여럿이다. 다솔사 보안암 석굴(유형문화재 제39호)은 경주 석굴암과 그 형식면에서 아주 흡사한 특징이 있고, 용현면 선진리성(문화재자료 제274호)은 임진왜란 때 왜성의 흔적이 남아 있어 일본식 성의 특징을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선진리성에는 왜성뿐 아니라 통일신라와 고려시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짐작되는 토성의 흔적도 있으며, 앞바다는 거북선이 첫 출전해 승전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또 지척에 있는 조명군총(기념물 제80호)은 최소 8000명이 함께 묻혀 있는, 국내 최대 집단 매장 유적이다.
이처럼 비록 그 숫자는 적을지 모르나 우리네 선조들이 물려준 사천의 역사와 문화는 그 가치에 있어 결코 작지 않고 가볍지 않다. ‘기왕이면 국보급 문화재라도 하나 있었으면’ 하는 바람도 가져볼 수 있으나 이는 욕심이다. 어쩌면 몇 안 되는 문화재라도 제대로 알고 잘 관리하는 일이 더 중요할 테다.
민속문화재 제3호인 축동 가산리 석장승을 두 번이나 도둑맞았다는 얘기는 부끄러운 우리 현실이다. 석장승 8기 중 4기를 한 차례 도둑맞았고, 이후 세워 둔 모조품까지 누군가가 진품으로 여겨 다시 훔쳐갔다는 웃지 못 할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