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 인근 지자체 화력발전소 건설 움직임

▲ 한국남동발전 삼천포화력본부 전경. (사진=뉴스사천DB)
사천시와 인접한 고성, 통영, 하동, 남해 등 인근 남해안권 지자체에서 화력발전소 건립이 추진되거나 계획 중에 있어, 장차 사천지역의 피해가 우려된다. 자칫 지자체가 발전소에 둘러싸일 수 있다는 우려도 지역사회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SK건설과 한국남동발전 등은 특수목적법인 고성그린파워를 설립, 2000MW급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재구성된 사천시대책위는 환경 피해 저감과 주민 보상을 위한 활동을 들어가는 한편, 발전소 반경 5km로 묶여 있는 피해보상 범위를 8km로 확대하는 법개정 주민청원운동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 하동에서도 화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발표돼 지역민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달 29일 하동군과 한국서부발전은 하동 갈사만에 2000MW급 석탄화력발전소 짓겠다며, 에너지사업개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서부발전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하동지구 갈사만 138만㎡, 약 42만평의 부지에 2015년부터 2022년까지 6년간 4조2000억 원을 투입해 발전용량 2000MW급 석탄화력발전소와 신재생에너지 설비사업을 단계별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갈사만에 화력발전소가 들어서면 하동은 이미 가동 중인 인근 4000MW급 하동화력발전소와 더불어 하동에는 두 개의 석탄 화력발전 설비를 갖추게 된다. 하동군과 한국서부발전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고, 내년 상반기 제7차 전력수급계획 반영·발전사업 허가신청 등의 절차를 거쳐 2017년 상반기 화력발전소 공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해군 역시 석탄가스화복합화력발전소(IGCC) 추진 의지를 밝히고 있다. IGCC는 석탄을 수증기 및 공기와 함께 고온 고압으로 가스화시켜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제조·정제해 가스터빈을 구동하고, 배열로 증기터빈을 구동하는 차세대 에너지 발전기술이다.

당초 포스코건설은 2018년까지 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고, 1단계로 300MW급 한국형 IGCC 상용 1호기를 2018년 착공해 2020년 상업운전을 개시하고, 2단계로 3000MW급 상용플랜트를 2024년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을 지난 4월 밝힌 바 있다.

현재 남해군은 하동군의 석탄화력발전소 추진 발표에 당혹스런 분위기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인 IGCC는 건설비용이 기존의 화력발전소에 비해 최소 2배 이상 소요되고, 상대적으로 사업경제성은 떨어진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남해군에서는 지난 2012년 찬반 격론 끝에 주민투표를 통해 석탄화력발전소 유치가 부결된 바 있다.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통영LNG복합화력발전소 사업도 복병이다. 통영LNG발전소는 통영시와 발전소 건립 시행사인 현대산업개발이 2012년 7월께 건립을 추진해 지난 2013년 2월 통영시 광도면 안정일반산업단지 내 발전소 건립을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던 사업이다.

현대산업개발은 예정했던 통영시 광도면 안정일반산업단지 부지 매입에 들어갔지만 실패했다. 이후 부지를 물색했으나 찾지 못한 상태다.

당초 이 사업은 2조4767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 1840MW급(920㎿급 2기) 발전용량을 갖춘 시설과, 송전선로 345㎸ 1식, LNG저장탱크 2기, LNG운반선 접안부두 등을 갖추는 사업이었다. 현실적으로 몇 군데서 화력발전소가 건립될지 현재로선 예상하기 어려운 실정이지만, 지역민들은 국내 최대 화력발전소단지가 밀집한 충남 같은 사례를 우려하고 있다.

NSP화력발전소 사천시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결정을 앞두고, 사천시를 둘러싸고 남해안 지자체 곳곳에서 화력발전소 붐이 일고 있다”며 “만약 허가가 난다면, 기존 발전소 피해에 기존 발전소 영향까지 더해 상당한 환경피해가 우려된다. 추이를 면밀히 살펴보고 대응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사천시 역시 지금은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추이를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