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강 물 부산 공급하면 2.7년마다 서부경남 물 부족”
상태바
“남강 물 부산 공급하면 2.7년마다 서부경남 물 부족”
  • 하병주 기자
  • 승인 2011.06.23 15:46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낙동강특위 “이수안전도 잘못 적용.. 보조여수로도 과장” 주장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별위원회(이하 낙동강특위)가 남강댐 물을 부산에 공급하겠다는 국토해양부 계획이 “터무니없다”고 결론지었다. 국토해양부 계획대로 부산광역상수도사업을 진행할 경우 서부경남 주민들은 3년에 한 번씩 심각한 물 부족 현상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낙동강특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남강 유역 현명한 물길 정책 수립용역 결과’를 지난 21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발표했다.

▲ 경남도 낙동강사업특별위원회가 국토해양부의 '남강댐 물 부산 공급 계획'이 터무니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사진은 남강댐의 사천만 제수문.
이날 용역 결과 설명에 나선 최동진 국토환경연구소 소장은 “국토해양부는 남강댐에서 기존공급량 '157만㎥/일' 외에 '65만㎥/일'의 추가용수 공급 여유량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일 단위 이수안전도’를 적용한 것이어서 적절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이수안전도는 물 공급 능력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물 부족 사태가 몇 년 주기로 발생하는지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 이수안전도를 반영할 때는 ‘연 단위 이수안전도’ 사용해야 함에도 ‘일 단위 이수안전도’를 적용함으로써 남강댐의 물 공급량을 부풀렸다는 게 최 소장의 주장이다. 만약 국토부의 주장대로 일 단위 이수안전도를 적용하면, 서부경남 주민들은 2.7년마다 한 번씩 극심한 물 부족으로 고통을 받아야 한다는 의미라는 것이다.

낙동강특위는 국토부가 이상 강우에 대비하기 위해 치수능력증대 사업의 하나로 계획한 ‘사천만 보조여수로 설치’에 대해서도 “최대강우량(PMP)과 최대홍수량(PMF)을 과장했다”고 지적했다. 한국보다 연 강우량과 태풍 영향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일본보다 1.5배 이상 높게 잡았다는 것이다.

▲ 낙동강특위는 사천만 보조여수로 설치계획도 "최대강우량이 부풀려진 결과"라고 지적했고, 계획대로 했을 경우 엄청난 홍수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사진은 남강댐 방류로 양식장 물고기가 폐사한 모습.
또 낙동강특위는 “국토부 계획대로 사천만에 추가 보조여수로가 설치되면 최대 방류량이 6000㎥/s에서 1만 8000㎥/s로 증가하게 돼 심각한 홍수 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참고로 수자원공사는 초당 6000㎥ 방류 시 394억 원 이상의 어업피해가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낙동강특위는 국토부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하면 남강하류의 수질도 악화될 것으로 우려하며, “현실성이 없는 남강댐 물 부산 공급계획을 전면 백지화하라”고 주문했다. 나아가 남강 또는 낙동강변에 인공습지와 인공함양 방법으로 청정 상수원수를 개발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면서 “지역 여건에 맞는 강수량과 홍수량을 재산정하고, 남강 유역 종합 치수계획을 다시 수립할 것”을 국토해양부에 권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블라인드
댓글을 블라인드처리 하시겠습니까?
블라인드 해제
댓글을 블라인드 해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사천의연인 2011-06-28 23:32:42
낙동강의 멀쩡한 철교 하나가 이번 메아리 태풍으로 인한 호우로 끊어져 버렸습니다. 경북 칠곡에 있는 왜관철교(호국의 다리)인데..새벽이 아니었다면 인명피해가 날 뻔한 상황이었습니다. 무리한 속도전 4대강 공사의 준설로 인한 피해입니다. 이런 낙동강 사업을 위해 왜 남강물을 부산에 공급해야 합니까? 남강댐 물 부산 공급은 4대강 죽이기 사업입니다.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의 4대강 공사 핵심 담당자들은 조금만 더 기다려라. 곧 낙동강이 너희들을 잡아먹을 것이니..

미칭개이 2011-06-24 09:33:31
부산에 남강물 퍼다 주겠다는 것.. 결국 정치적 쇼에 불과했다.
부산시민들도 이제 정신 좀 차리것지. 누군가에게 놀아났다는 것을...
남강.. 사실 쪼맨한 강이다. 지금도 남해와 거제 등 섬지역으로 물을 보내주고 있다.
조금이라도 남는 물이 있다면 정상적인 물길로 흘려보내야 한다. 그래야 강이 산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