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젊은이에게 바치는 책 <마음에 이슬하나>

▲ 표지. 전택원 지음. 2010.11 도서출판 바보새
≪마음에 이슬하나≫를 알게 된 것은 ‘酋(추)’자 때문.

해월(海月, 최시형.동학의 2세교조)의 시에 서추(西酋)라는 단어가 있다. 천도교경전에는 ‘서쪽괴수’라 해석한다. 더 나은 해석은 없나 해서 인터넷을 검색하다, ‘서양추장’이라고 풀이하는 책을 만난 것. 예사롭지 않은 해석이라 느꼈다.

더 놀란 것은 책 표지. 경주시 현곡면 가정리 수운의 묘 앞에 서 있는 석상이 아닌가!

‘이 석상을 표지로 해서 책을 내다니! 이 석상의 존재마저 모르는 사람도 많은데. 우리나라 근대 최초의 인물 조각상으로 평가받고 있는 석상! 한 십 년전 수운의 묘를 정비하면서 이 석상은 하마터면 땅 속에 묻힐 뻔 했는데. 동학에 대해 뭔가를 아는 사람이 글을 쓴 모양이네.’

그렇게 해서 ≪마음에 이슬하나≫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500쪽이 넘는 철학서. <도선비결> 271자를 해석하고 있었다.

지은이 전택원은 271자를 해석하는데 5년 이상의 시간을 투자하였고, ≪마음에 이슬하나≫를 출간하는데 거의 13년이라는 세월의 공을 들였다.

흔히들 우리가 우연이라고 애써 그 의미를 깎아 내리기도 하는 하찮은 것도 실은 필연적인 그 무엇을 가지고 있다. 하여 필연은 우연을 통하여 나타나고, 우연은 필연을 표현한다고 한다. ≪마음에 이슬하나≫에는 전혀 상관없을 것 같은 여러 사실들이 얼기설기 엮어져 있지만 전혀 어색하지 않다.

도선(道詵)은 통일신라말기에 활동했던 스님으로 풍수지리설로 유명하고 왕건의 스승이었고 고려의 건국을 예언했다. 그리고 도선이 지었다는 <도선비결(道詵秘訣)>은 조선의 멸망을 예언하고 있다하여 조선시대에는 당연 금서목록에 포함되었다. 수운(水雲, 최제우)은 1860년 동학(東學)의 창도자로 도선에 비하면 천년 뒤의 사람이다.

천년의 시간을 사이에 둔 도선(827~898)과 수운(1824~1864)이 어찌 만날 수 있을 수 있을까? 또 만나 무엇을 하려는가? 
 

내가 ≪마음에 이슬하나≫를 만난 것도 우연이지만, 이 책에는 우연한 만남이 많다. 지은이가 <도선비결>을 풀이하는 것을 필생의 과제로 생각하지 않았다면 순간적으로 스치고 말았을 만남들이다.

‘한와일주(閒臥一州)’ -어느 고을에 한가롭게 누워 있다. 
 

<도선비결> 271자 중의 일부다. 전택원은 이 구절에서 막힌다.

"어느 한 고을 이라니? 도대체 어디란 말인가? 또 누가 그곳에 한가로이 누워있다는 것인가"

▲ 경북 경주 현곡면 구미산 전경. 1984년9월 ≪동학≫의 저자 표영삼선생이 찍은 사진. 정면 골짜기에 수운이 도를 얻은 용담정이 있고, 길게 뻗은 능선 중간에 수운 최제우의 묘가 있다. 책의 지은이는 이 사진을 보고 '한와일주'를 풀이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날 표영삼선생이 펴낸 ≪동학≫에 실린 구미산 전경 사진 한 장을 보고 “결코 풀리지 않을 것 같던” ‘한와일주(閒臥一州)’를 풀이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날 표영삼선생이 펴낸 ≪동학≫에 실린 구미산 전경 사진 한 장을 보고 “결코 풀리지 않을 것 같던” ‘한와일주(閒臥一州)’를 풀이하게 된다.

“ 일주(一州)란 경주였습니다. 수운은 경주의 옛 터전에서 진리를 추구하는 사람들을 뒤로 한 채 한가롭게 누어 있는 것입니다. 무덤 속에 잠자는 것보다 더 한가롭게 누운 광경도 없을 것입니다.”

‘삼한산천 하여(三韓山川 何如)’ - “삼한의 산천은 어떠합니까?”

<도선비결> 첫 부분의 질문이다.

“삼한의 산천은 어떠합니까?”를 “지금 한반도의 운명은 무엇입니까?” 로 바꾸어 전택원은 이 땅의 사람들에게 질문한다. 그리고 수운의 예언을 풀이하는 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 하원갑 경신년! 경신년(1860년)의 이 날이 나라의 첫날이며, 하원갑의 첫날이기도 하다는 뜻이다. 하원갑(下元甲)이 시작하는 해가 바로 1860년. 수운이 원갑을 말씀하신 것은 앞으로 180년간에 걸치는 예언을 담은 뜻이 있다. 개벽이 시작된 1860년에 180년을 더하면 2040년까지. 이미 하, 중원갑의 120년은 지나갔다. 그 다음이 상원갑. 1980년부터이다. 한 원갑에는 두 세대가 있다. 한 세대는 30년. 2010년부터 최후의 30년이 시작된다. 새로운 문명시대가 열리는 최초의 30년이기 하다. 수운이 노래한 상원갑 호시절이다.”

지은이는 예언으로 다가오는 2010년부터의 30년을 “봄! 땅을 갈고 씨를 뿌리는 봄이며, 역사위에 뿌려진 숱한 시련의 열매를 수확할” 때라고 한다.

“이 땅의 주인들이 팔을 걷고 나서서 일판을 벌일 것”이라며 새로운 문명시대를 여는 빛나는 눈동자, 한반도의 젊은이게 ≪마음에 이슬하나≫를 바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