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창섭 시인.
송창섭 시인.

[뉴스사천=송창섭 시인] 말馬을 타 본 경험이 있을까요. 가축으로 말을 기르지 않는 이상 보통 사람은 승마장이 아니고는 말을 탈 기회를 갖기가 어렵습니다. 몽골처럼 드넓은 땅을 누비며 사는 유목 민족이면 모를까, 말이란 동물을 곁에 두고 함께하기는 불가합니다. 말은 인간의 사냥감으로 먹이가 되곤 했지만 예부터 인간과는 친밀도가 높았습니다. 먼 거리를 오가는 이동 수단으로 역할을 했으며, 무거운 짐을 등허리에 얹어 나르고 또 썰매를 끌기도 했습니다. 

말은 천성이 착한 생명체입니다. 온순하여 남을 해칠 줄 모르며 적극적이고 의리가 있습니다. 쓰러진 주인의 소매를 물어 일으켜 세우는 등 지능은 비교적 뛰어납니다. 말은 겁이 많아 잘 놀라기에 사람들의 따스한 배려와 손길로 교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불편하면 말은 서서 잡니다.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 재빨리 달아나기 위한 대비 동작입니다. 마음이 편안할 때면 옆으로 드러누워 자기도 합니다. 말은 초식동물이기에 생초와 건초를 잘 먹습니다. 푸른 초원을 힘차게 달리며 말갈기를 휘날려 제 멋을 드러냅니다.   

1973년 문화재관리국은 경주에서 거대한 봉토로 덮여 있던 제155호 고분을 발굴 조사하였습니다. 이때 자작나무껍질에 채색하여 천마를 그린 말다래가 나왔습니다. 고분을 천마총天馬塚이라 부른 계기였습니다. 그러니까 천마가 죽어서 묻은 ‘말 무덤馬塚’이 아니라 천마를 그린 그림이 들어 있어 붙인 이름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실제 죽은 말을 묻어 만든 말 무덤이 있습니다. 전남 강진의 작천면 척동마을에는 논 가운데에 높이 2.5m의 커다란 무덤이 있는데, 묘 앞에는 “양건당애마지총兩蹇堂愛馬之塚”이라 적은 비석이 있습니다. 

임진왜란 때 남원성 싸움에서 의병장 황대중 장군이 순절했습니다. 양건당은 그의 호號인데 ‘건蹇’이란 말은 ‘절다, 절룩거리다, 절뚝발이’라는 뜻입니다. 황대중은 어머니가 백약이 무효인 아픔을 겪고 있을 때 자신의 왼쪽 허벅다리 살을 베어 드려 낫게 했는데 이로 인해 다리를 절게 되었다 합니다. 그리고는 1594년 거제도 싸움에서 오른쪽 다리를 다쳤는데, 이순신 장군이 이르기를 “한 다리는 효도를 위해 절게 된 효건孝蹇이요, 한 다리는 나라를 위해 싸우다 다친 충건忠蹇이니, 두 다리를 절룩거려 양건兩蹇이로다.”라며 치하하고는 호로 정해 주었다고 합니다. 

양건당이 전사하자 그의 말은 주인을 떠나지 않고 곁을 지켰습니다. 말의 등에 시체를 얹자 삼백 리를 달려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황대중 장군의 장례식이 끝나고 얼마 뒤 말은 숨을 거뒀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말의 충정을 가상히 여겨 장군 무덤 인근에 말 무덤을 만들었습니다. 말은 자신을 아끼고 돌봐 준 주인에게 의리를 지키고 목숨까지 바쳤으니 무덤의 임자가 되기에 충분했습니다. 

티브이 속에는 자신의 언행을 여반장으로 부정하거나 뒤집어, 정의에 장님 되고 이해득실에 무릎 꿇는 작자들이 우글거립니다. 그들에게 고합니다. 참된 삶이 무엇인지 ‘말 무덤’은 묵묵히 시사한다고.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