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도의회, 사천·진주상의 건의문 발송
특별고용지원업종에 항공제조업 포함 촉구  
기간산업 안정자금 ‘그림의 떡’…조건 완화 당부
국산헬기 수리온 구매, 지자체·공공기관에 호소  

사천시, 경남도의회, 사천상공회의소가 코로나19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항공부품제조업의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정부에 건의했다. 사천시의회는 오는 2월 1일부터 열리는 임시회에서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되면, 사업주와 근로자에게 고용유지지원금, 직업훈련, 고용·산재보험료 등에서 혜택이 있다. 
사천시, 경남도의회, 사천상공회의소가 코로나19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항공부품제조업의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정부에 건의했다. 사천시의회는 오는 2월 1일부터 열리는 임시회에서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되면, 사업주와 근로자에게 고용유지지원금, 직업훈련, 고용·산재보험료 등에서 혜택이 있다. 

[뉴스사천=강무성 기자] 최근 사천시, 경남도의회, 사천상공회의소가 코로나19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항공부품제조업의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정부에 건의했다. 사천시의회는 오는 2월 1일부터 열리는 임시회에서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되면, 사업주와 근로자에게 고용유지지원금, 직업훈련, 고용·산재보험료 등에서 혜택이 있다. 

사천시는 15일 대정부 건의문을 정부 각 부처에 발송했다. 시는 이번 건의문에서 “코로나19 장기화로 일부 민수업체의 경우 80%이상 매출이 감소되는 등 항공제조산업은 기반붕괴의 위기에 놓여 있다. 그러나 정부의 항공산업에 대한 지원은 항공운송업에 집중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숙련된 노동자들이 이탈하게 되면 53개 업체, 1만여 명의 노동자들이 항공제조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천시의 지역경제는 붕괴될 수밖에 없다”며 “현 수준으로 회복하려면 10년 이상이 소요되므로 즉시 항공부품제조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시는 “주요 기간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40조 원 규모의 기간산업 안정기금이 조성됐지만, 까다로운 조건과 높은 이자율로 중소 항공부품업체는 전혀 이용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더 많은 영세한 중소기업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지원조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코로나19가 종식되고, 외국 원청업체의 조업이 재개되어도 회복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며 “항공산업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재도약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도의회는 여기에 더해 정부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헬기 구매시 한국항공우주산업(주)에서 개발한 국산헬기인 수리온을 우선 구매해달라고 촉구했다. 도의회 대정부 건의문은 박정열 도의원이 대표 발의하고, 30명의 도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이 건의문은 21일 경남도의회 제382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채택됐다. 

도의회는 “코로나19 여파로 도내 항공부품 제조기업들의 매출이 80%이상 급감, 제조기업 가동율은 전년대비 50%~70%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경남이 국내 항공제조업 생산액의 65%와 종사자 수의 63%를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러한 경기 불황은 경남 산업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 자명하므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사천상공회의소(회장 정기현)와 진주상공회의소(회장 금대호)도 22일 항공부품제조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들 단체는 “정부가 항공산업의 뿌리가 되는 항공부품제조업의 위기를 더 이상 방치한다면 항공제조업 발전을 위한 그동안의 노력은 물거품이 되고 국제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이들은 “기간산업 안정기금은 까다로운 조건으로 지원이 절실한 항공부품제조업체를 포함한 영세 중소기업들은 전혀 혜택을 볼 수 없다”며 “지원 조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사천상의는 “항공제조업은 항공운송업과 비교해 피해가 다소 늦게 나타나며, 회복 또한 늦게 나타난다는 점 외에 피해 규모는 다르지 않다”며 “항공산업에 대한 지원이 항공운송업에만 집중되어 있는 것은 정부의 잘못된 인식 탓”이라고 꼬집었다. 이번 건의안은 청와대와 국회의장,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와 광역지자체, 공공기관 등에 전달됐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