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삼조 시인.

우리 사회의 교육열은 정말 대단하다. 이 열정으로 인한 인재 양성에 힘입어 우리나라는 온갖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고 경제 기적을 이룬 위에 더 나은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탄탄한 경쟁을 세계 각국과 벌이고 있는 중이다. 전 국민이 중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있고 교육받는 사람의 대부분이 대학을 졸업하고 있다. 설혹 사정이 있어 대학 진학을 못 했더라도 장차 사정이 허락되면 대학을 졸업하리라는 계획을 가진 사람도 많을 것 같다. 과거 나라를 강탈당했을 때 도산 안창호 선생을 비롯한 선각자들께서 교육 사업을 부르짖고 그 길로 매진하신 독립운동의 한 부분이 이룬 결실을 보는 것 같다. 

그런데 이 교육에 대한 열정이 불러일으키는 불가피한 경쟁이 종종 사회 문제를 불러일으키곤 한다. 좋다는 입장에서 보면 경쟁은 강력한 성취동기를 학습자에게 부여하는 없을 수 없는 자극제가 된다. 반면에 지나친 경쟁은 종종 사람을 피폐하게 만들기도 하고, 선의(善意)의 경쟁이 아닌 악의(惡意)적인 편법(便法)을 동원하게 하기도 한다. 지난해 말부터 올 초까지 방영된 한 종편 방송국의 TV 드라마 ‘스카이캐슬’이 이러한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어 화제가 되었다. 당시 드라마 중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이 드라마는 이른바 상류사회의 그 상류 대물리기가 교육 현실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를 절실히 드러내어 이 교육 문제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을 대변했다. 

최근에는 청문회를 앞둔 한 장관 후보자의 딸이 십여 년 전인 고등학교 2학년 때 한 학술지에 제1저자로 논문을 등재한 일이 있다 해서 세간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물론 이 논문 등재가 그 딸의 대학 입시에 영향력을 미칠 정도로 이용되지 않았다는 해명도 있었고, 후보자 본인의 “자신의 ‘안이한 자식 관리’로 인해 이런 제도에 접근하기 어려운 많은 국민께 마음의 상처를 주고 말았다는 점에 대한 사과”도 있었다. 하지만 상류 계층 사람들로 보이는 학부모들이 모여 만든 인턴십 프로그램의 결과라는 이 논문이 결국은 자식들 스펙 서로 챙겨주기의 산물이 아니었겠느냐는 눈총을 당장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물론 현 정부도 이런 문제를 모르고 있거나 도외시하고 있지는 않다. 그래서 대학 입시에서 수시보다는 정시 입시의 비중을 높여나가도록 하고 있고 학생이 썼다는 위와 같은 논문 등도 대입 자료로 제출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들이 보이는 입시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도로 볼 때 보다 강력하고 근원적인 입시 개혁이 필요해 보인다. 그리고 그 개혁은 모든 학생에게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으로 믿는다. 부모의 가진 정도나 계층적 위치에 좌우되는 혜택이 아닌, 평등의 정신에 입각한 교육 기회가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부모들도 옛이야기에 나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한 일’과 같은 자기희생적이고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자식 교육을 본받아 실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