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사천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방안은? ③부산 수영만

88올림픽 맞춰 국내 최대 요트경기장 개장
10년간 재개발 우여곡절…공익성 강화 과제
수익사업과 항만시설 본연 기능 조화 이루어야

사천시가 새로운 관광 랜드마크 구축을 위해 사천바다케이블카를 지난 4월부터 운행하고 있으나 체류형 관광객을 유도할 수 있는 연계 사업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마리나 산업 등 해양레저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지역 안팎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삼천포마리나가 있기는 하지만, 현재 사천시의 해양레저산업은  걸음마 단계다. 해양레저 선진국인 일본과 타지역 사례를 통해, 사천시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본다. - 편집자 주                                      

▲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위해 조성된 국내 최대 규모의 요트경기장이었으나 시설 노후화로 10년 전부터 마리나 재개발 움직임이 일었다.

수영만요트경기장(부산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84)은 86서울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을 치르기 위해 건립됐다. 1982년부터 수영만 매립 사업을 추진했으며, 1986년 4월 요트경기장으로 준공됐다. 1988년 1월 부산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요트경기장으로 개관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수영만 요트경기장 전체 면적은 23만803㎡(육상 13만8561㎡, 해상 9만2242㎡)이며, 계류장에는 총 448척(육상 155, 해상 293)을 계류할 수 있다. 부잔교 8열 954m, 크레인 3조, 무인등대 4개소, 통제소 5개소 등이 있으며, 주차장은 총 500면이며, 각종 행사를 치를 수 있는 광장, 요트 측정 및 전시장 용도의 계측실, 국제회의실도 갖추고 있다.

지난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요트경기대회,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요트경기대회 등이 이곳 일대에서 치러졌다. 현재도 각종 요‧보트 경기 개최 등 해양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과거 88올림픽을 치룬 세계적 규모의 계류장이자 시민휴식공간, 부산국제영화제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펼쳐지는 영상과 문화의 명소로 알려졌으나, 시설 노후화로 마리나 재개발 문제가 10여 년 전부터 과제로 떠올랐다.

현대산업개발이 지난 2008년 ‘아이파크 마리나’라는 컨소시엄을 구성, 수익형 민자투자방식(BTO)으로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을 제안했다. 당시 아이파크 마리나 측은 1500억 원을 들여, 요트 계류 능력을 기존 460척에서 600여 척으로 늘리고, 요트 보관시설과 수리소, 전시관, 요트클럽, 판매시설, 마리나호텔과 컨벤션시설을 짓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BTO방식은 시설을 민간사업자가 짓고, 업체가 30년간 운영한 뒤 시에 돌려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2014년 민간사업자가 계획한 호텔 위치가 인근 해강초등학교와 100미터 거리에 있어 학부모와 시민단체 반발이 일었다. 호텔이 학교와 70미터 거리에 위치해 교육 환경을 헤칠 수 있다는 것. 사업자 측의 해운대구교육지원청 건축불허 결정에 행정심판에 이어 행정소송까지 이어졌으나, 1,2,3심 모두 기각됐다. 2015년에는 호텔 건축 위치를 요트경기장 서쪽 방파제쪽으로 옮겨 건축계획 심의를 받았으나, 조망권 등의 문제로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반대시위가 일기도 했다. 당시 일부 주민들은 체육시설인 요트경기장을 공공개발하지 않고, 호텔 등 상업시설을 많이 넣은 것에 대해 항의했다. 또한 호텔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실시협약 변경없이 사업자가 실시계획을 제출하는 등 문제가 불거졌다. 호텔의 부대시설 또는 부속시설 성격을 두고도 논란이 있었다. 사업자 측과 부산시의 협상 결렬로 부산시가 사업자 지정을 취소하며 실시협약을 해지하자, 행정소송이 이어졌다.
 
결국 2018년 부산시가 최종 패소해 민간사업자 재개발사업 추진이 재개됐으나, 호텔 위치를 둘러싼 민원 등 갈등은 상존하고 있다. 부산시는 실시계약 해지 후 공공사업으로 직접 사업을 추진하려 했으나, 결국 지난 4월 26일 대법원 패소로 다시 BTO사업으로 추진하게 됐다.

이 때문에 부산시의회에서도 수영만 마리나 재개발사업의 민간투자사업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 재정사업 추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지난 10월 부산시의회 고대영 의원은 시정질문을 통해 수영만 마리나 재개발을 두고, “항만시설이 축소되고 상업기능이 강화되는 등 ‘수익사업’ 중심으로 사업이 변질됐다”고 질타했다. 최초 사업제안서와 비교할 때 새로 제시된 사업제안서에서는 요트 관련 시설부지가 절반으로 줄어든 반면 판매·상업시설은 배이상 늘어났다는 것. 그는 30년 후 노후화된 시설을 다시 지자체가 떠안아야 하는 점과 늘어난 상업시설로 인한 교통혼잡, 전문가 의견수렴 과정 등도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해양레저산업으로서 요트장 시설정비와 확충을 강조했다.

▲ 부산 수영만 요트경기장에 계류된 요트와 보트.

부산시는 사업자측인 아이파크마리나와 협의를 갖고 공익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재개발 사업에 따른 특혜 시비를 벗어나기 위해 공익성을 강화키로 했다. 호텔은 15층에서 12층으로 3층을 낮추기로 했다.

수영만요트경기장에서 20년 넘게 잔뼈가 굵은 양봉수 엔젤마리나 대표는 “해양레저활성화는 기반 시설 조성부터 약 10년이 넘게 걸린다. 시설은 민간이 아닌 국가나 지자체에서 지원되어야 한다”며 “최근 전국적으로 BTO방식으로 마리나개발 붐이 일고 있는데 걱정되는 지점이 많다. 요트나 보트를 활용한 기본이 아닌 배후지역 상업시설에 몰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만 해도 배후 상업시설(아울렛) 등은 금방 유행이 지나가서 사양 산업화되는 경우가 많다. 나중에 노후시설을 지자체가 다시 받으면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마리나 활성화를 위해서는 섬 활용 관광이나 보트 체험 등 기본적인 것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삼미컨소시엄과 ‘부산 운촌 마리나항만 개발사업’ 관련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부산 운촌 마리나항만 개발사업’은 해운대 동백섬 앞 운촌항 14만1121㎡ 부지(해상 8만6466㎡, 육상 5만4654㎡)에 요트 등 레저 선박 250척(해상 200척, 육상 50척)을 계류할 수 있는 시설과 방파제(길이 255m), 호안, 클럽하우스와 공원, 선박 수리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삼미건설은 2014년 개장한 ‘더베이101’을 운영하고 있는 동백섬마리나의 모회사다. 더베이 101은 빼어난 주변 경관과 야경을 활용한 술집과 음식점 등 부대시설은 성업 중이지만, 정작 요트는 몇 척만 정박하고 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와 지역주민들이 올해초부터 강하게 이 사업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인근 수영만 마리나 재개발과 사업이 중복되고, 지나친 상업 활동에 따른 동백섬의 사유화가 우려된다는 것. 실시협약까지 진행된 상황이지만 반발은 계속되고 있다.

※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