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선한의 영화이야기

▲ 영화 포스터

원작이 있는 영화는 양날의 검이다. 원작이 유명하며 수작이면 더욱 그렇다. 기존의 팬층과 검증된 스토리에 잘 짜인 플롯까지 통째로 그 장점만 가져오면 좋지만, 현실은 항상 예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기 쉽다.

그래서 <인랑>이 영화화된다고 했을 때 오랜 팬으로서 환영보다는 걱정이 앞섰던 것이 사실이다. 원작의 그 압도적인 디스토피아적 아우라를 어떻게 스크린으로 옮겨올 것인가. 물론 김지운은 매우 감각적이며 탁월한 감독이지만 이게 과연 감독의 역량만으로 가능한 것인가. 아마도 ‘인랑’의 모든 팬들이 비슷한 우려와 기대를 가지고 <인랑>을 기다렸을 것이다.

우선 라인업은 화려하다. 정우성과 강동원의 투샷을 보게 되다니! 하지만 이런 쇼킹한 비주얼 이펙트는 관객동원의 동기는 되지만, 반드시 티켓 구매력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님을 근래의 한국영화에서 이미 보아왔던 터이다. 따라서 흥행의 성패 여부는 만듦새라는 결론으로 돌아간다. 김지운 감독은 원작의 큰 틀을 허물지 않는다. 통일 무드의 한국이라는 공간만 옮겨왔을 뿐 원작이 갖는 이미지는 영리하게 차용한다. 특히 액션과 미장센은 과연 김지운이란 감탄이 나올 만큼 뛰어나다. 한국 영화사에 길이 남을 정도로 말이다. ‘과연 김지운표 영상미학’이라는 소리가 자연스레 입에 배어든다.

그럼에도 내내 불편한 것은 액션이 한껏 고조시킨 감정을 어정쩡한 멜로가 차게 식히기 때문이다. 멜로를 섞은 이유를 이해 못할 바는 아니나, 차라리 건조하게 빼고 가는 것이 조금 더 집중할 수 있지 싶어서 못내 아쉬움이 되었다. 이보다 더한 문제는 캐릭터인데 강동원, 한효주가 연기하는 멜로 당사자는 물론이고, 영화 속 등장 캐릭터들 대부분이 긴 러닝타임 속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그래서 설득력을 잃었다. 이것은 서사의 불친절 때문이 아니라 캐릭터 구성을 제대로 하지 못한 연출의 문제다. 김지운 감독의 전작 <밀정>과 비교하면 아쉬운 지점이기도 하다.

김지운은 다재다능한 감독이다. 장르를 주무르는 재주도 뛰어나서 코미디부터 멜로까지 손을 대는 작품마다 그만의 다채로운 색깔로 변주되곤 했다. 그런 까닭에 <인랑>에서 가장 궁금했던 것이 어떤 색깔의 ‘김지운표 장르’로 탄생할까라는 것이었고, 가장 우려했던 부분 또한 바로 이 것이다. 그러나 <인랑>은 이 지점에서 명백히 실패했다. 차라리 비교 텍스트만 없었더라도 이 정도의 반응은 아니었을 것이나, 이미 기대치가 한껏 높아진 상태였던 게 그저 불운일 따름이다.

그래도 재미있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