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의원 ‘가’선거, 무효표 비율 이례적 높아
유권자들 혼란 일으킨 듯…4년 전보다 2.29%↑

▲ 사천시의원선거에서 무효표가 급증한 이유가 뭘까? 사진은 6.13지방선거 사천시의원 가선거구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를 모두 찍어 무효표가 된 사례.

선거에서 박빙의 승부가 펼쳐진 경우 아깝게 낙선한 후보자로선 무효표에 눈이 가기 마련이다. 무효표 가운데 몇 표만 건져도 당락이 뒤바뀔 것 같은 생각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6‧13지방선거에서도 한 자리 수 득표 차이로 초박빙 승부를 펼친 곳이 전국에 여럿이었다. 그러나 재검표로 결과가 뒤집혔다는 소식은 아직 없다.

사천시로 좁혀 이번 지방선거를 분석하면, 1% 이내의 초박빙 승부가 펼쳐진 경우는 1곳도 없었다. 다만 지난해에 비해 무효표 비율이 조금 높아진 게 특징이다. 여기에는 사천시의원선거 가와 나 선거구가 크게 작용했다. 이곳에선 왜 무효표가 급증했을까?

먼저 사천시장선거는 전체 선거인 가운데 6만5483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무효표는 1837표로 2.81%를 차지했다. 4년 전 사천시장선거에서 무효표 비율이 2.25%(1425표)였던 것에 비하면 0.56%p 늘어난 셈이다. 이를 읍면동별로 살피면, 사남면과 정동면, 벌용동처럼 비교적 젊은 인구가 많은 쪽에선 무효표 비율이 1%대로 낮은 반면 노령층이 많은 쪽에선 높게 나타났다. 서포면의 경우 7.52%로 다른 지역에 비해 특별히 더 높았다.

이밖에 경남도의원선거 사천1선거구(읍면지역)는 3.48%, 사천2선거구는 3.51%로, 무효표 비율이 4년 전 선거와 비슷했다. 다만 경남도지사선거에선 지난 선거 3.19%에서 2.60%로 조금 내렸고, 경남도교육감선거에선 4.38%에서 4.87%로 조금 올랐다.

이와 관련해 사천시선거관리위원회 최광식 사무국장은 “선거에 대한 관심이나 후보자에 대한 이해가 낮을수록 무효표 비율이 늘어나는 현상이 있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2년 전 국회의원선거에서의 사천시 무효표 비율은 1.82%였고, 지난해 있었던 대통령선거에서는 0.68%의 무효표 비율을 기록했다. 큰 선거일수록 무효표 비율이 낮다는 건 통계로도 어느 정도 확인되는 셈이다.

그런데 이번 선거에서 꼭 눈여겨보아야 할 곳은 사천시의원선거 가‧나선거구다. 두 선거구의 무효표 비율은 5.76%와 6.54%로, 4년 전 같은 선거와 비교해 각각 2.29%p, 2.78%p 올랐다. 다‧라선거구의 무효표 비율이 모두 내렸다는 점에 비추면 더욱 특이하다.

그 이유가 뭘까? 한 가지 짐작해볼 수 있는 건 정당별 기호에 따른 헷갈림이다. 가선거구의 경우 후보가 8명으로 많은 데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각각 3명씩 공천했다. 이에 후보들의 기호가 각각 1-가, 1-나, 1-다, 2-가, 2-나, 2-다 이런 식으로 기표지에 기입되면서 유권자들이 혼란을 겪었을 가능성이다. 특히 한국당에 비해 민주당은 이런 경우가 처음이라 지지층에서 혼란을 겪었을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투표 이후 “내가 사는 곳이 가선거구라 ‘가’번을 찍어야 하는 건지, 아니면 지지 정당 후보 3명을 다 찍어야 하는 건지 헷갈리더라”고 뉴스사천에 토로한 유권자들이 여럿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가능성이 충분해 보인다. 사천시장선거에서 무효표가 1.60%에 그쳤던 사남면이 시의원선거에서 5.20%로 치솟았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반대로 나선거구는 민주당 후보가 없음에 따른 유권자들의 기호 혼선이 초래됐을 가능성을 조심스레 점쳐볼 수 있겠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가‧나‧다로 선거구를 구분하면서 기호까지 가‧나‧다를 쓴다는 건 문제가 있다. 기호에 따른 유·불리도 작용할 수 있다”며 제도적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내고 있다. 이에 대한 향후 선관위의 해석과 대응이 궁금하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