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위기 동식물의 서식처, 사천 광포만을 순천만 같은 생태관광지로 만드는 논의가 시작됐다. ‘물의 날’을 맞아 환경단체가 광포만 갯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습지보호구역 지정에 나섰다. 광포만과 더불어 살고 있는 주민들에게 최근 생태관광지로서의 미래가 소개됐다. 사천시와 조율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공단으로 개발하기보다 보존을 하면서 관광을 활성화 시키겠다는 것이다.

순천만처럼 관광지로 유명세를 탈 수 있다는 기대감에 주민들은 솔깃했다. 그러나 공단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와 땅값 상승의 희망을 버리기엔 아직 부족하다. 생태관광지가 되더라도 외지인들만 이익을 볼 것이란 우려가 크다. 특히 광포만이 예전만큼 살아있는 자연이 아니어서 보존할 가치가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생태관광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으로 보호가치가 높은 지역을 인간의 간섭은 최소화하면서 활용하는 것이다. 관광객 출입에 따른 자연 보존 측면에선 다소간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순천만이나 전남 신안군 증도 등의 사례를 보면 생태관광은 지역 경제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된다. 세계적으로 생태관광에 대한 수요는 지구 환경이 훼손되고 있는 속도만큼이나 늘고 있다. 인근 하동처럼 ‘슬로시티’ 인증을 받으려는 도시도 증가 추세다.

어떤 지역을 변화시키는데 있어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있다. 바로 주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일이다. 순천만의 가치는 단순히 갈대를 보존한 갯벌 경관이 전부가 아니다. 지금의 순천만은 주민들이 오랜 시간동안 머리를 맞대서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겪은 후 생태관광지로 재탄생했다. 그 결과 주민들은 소중한 습지 환경을 지켜냈고, 소득사업도 발굴했다. 생태관광지의 명성으로 지역 브랜드 가치도 성장시켰다. 무엇보다 주민들의 삶이 오롯이 담겨 있다.

물론 개발이 나을 수도 있다. 그래서 이야기를 해야 하는 것이다, 광포만을 위해, 주민들을 위해, 지역을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인지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 더 이상 선거 때만 되면 난무하는 정치인들의 ‘사탕발림’에 속지 않아야 한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