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국비 1000억 등 7000억 원이 투자되어 인구유입 2만 명, 일자리 창출 7000개, 매출 2조 원이 기대되는 사업. 항공정비사업으로 불리는 MRO의 기대효과다. 업체나 지자체에서 내놓은 이 주장이 얼마나 근거 있는지 확인하긴 힘드나 정부 차원의 사업지원 등을 감안할 때 그 기대효과가 결코 작지 않을 것임은 미뤄 짐작할 수 있다.

당연히 지자체간 유치 경쟁도 치열하다. 우리와 경쟁을 하는 곳은 충북 청주시와 인천시다. 그 중 청주의 경우 5년 전 청주공항 인근이 MRO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MRO에 대한 꿈을 키워 왔다. 항공업체는 아시아나항공이 주축이고, 충북도가 적극 지원하고 있어 사천의 유력한 경쟁상대로 꼽히고 있다.

사실 항공업체만 놓고 보면 MRO 사천 유치는 큰 걱정 하지 않아도 될 성 싶다. KAI가 국내 유일의 항공기 완제기 업체이며, 이미 생산과 정비 사업을 포괄하며 굴지의 해외 항공업체와도 교류를 잘 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 한국형전투기사업인 KF-X사업의 우선협상대상업체로 KAI가 선정되면서 MRO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그럼에도 방심해선 안 된다. 청주의 경우 충북도 차원에서 사활을 걸고 접근하는 데다 업계와 정치권도 똘똘 뭉쳐 유치활동을 펴고 있는 것이 예사롭지 않다. 그에 비하면 사천은 상대적으로 너무 차분하다. 실제로 지자체의 지원과 협조라고 하면 사업부지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느냐로 귀결되는데, 청주의 경우 사업부지 조성방안 등이 확정돼 있다. 반면 사천의 경우 용당지구로 사업예정지는 정했지만 여전히 시도별 비용분담이 결정되지 않았다. 나아가 사업부지를 적기에 제공하기 위해선 토지 소유주인 지역주민들의 협조가 꼭 필요함에도 이들의 의사 확인이 덜 됐다. 토지수용 반대움직임이 커질 경우 자칫 또 다른 문제로 발전할 수도 있다.

사천공항 야간 이착륙 제한 조치를 완화시키는 일도 필요하다. 여기에는 공군의 협조는 물론 소음민원에 따른 주민 동의가 필수적이다. 결국 MRO사업 유치를 위해선 지자체는 물론, 지역민들의 폭넓은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MRO사업을 바라는 지역민들의 마음이 더 단단히 조직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뉴스사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