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노조·시민단체 16일 규탄집회..정치권도 "특정재벌 특혜" 주장
정부가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 민간매각을 추진 중인 가운데, 대한항공이 유일하게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다.
한국정책금융공사 등으로 구성된 KAI주주협의회는 지난달 31일 매각공고를 내고, 보유 지분 56.41%(6월 말 기준) 가운데 41.75%를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키로 했다. 매각 예상 금액은 1조3000억 원 가량. 16일까지 인수의향서(LOI)를 받은 결과, 대한항공 한 곳만 접수했다.
이에 정책금융공사는 오는 20일 예비입찰 공고를 내고, 31일까지 예비입찰제안서를 접수받기로 했다. 이번에 인수의향서를 제출하지 않았던 기업이라도 31일까지 예비입찰제안서를 제출하면 예비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만약 예비입찰때까지도 대한항공 외에 참여하는 곳이 없을 경우 자동 유찰된다. 1차 유찰 후 재공고 여부는 KAI 주주협의회에서 결정된다.
관련법상 공개입찰을 두 차례 진행한 이후 수의계약 방식으로 매각이 가능해, 대한항공이 끝까지 입찰에 참여한다면 수의계약으로 KAI를 인수할 수 있다. 하지만 수의계약 형태로 민간매각이 추진될 경우 대한항공에 대한 특혜시비가 불거질 수 있다. 정책금융공사는 연내에 지분 매각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김두관 예비후보는 "KAI매각은 국가안보를 팔아서 특정재벌에 특혜를 주는 것"이라고 정부를 규탄했다. KAI 민간매각 문제는 대선정국과 맞물려 정치쟁점화되는 모양새다.
KAI노조 이종택 사무국장은 "16일 대한항공 1곳만 인수의향서를 냈으면 바로 유찰됐어야 했는데, 정책금융공사가 31일 예비입찰 일정을 밝힌 것은 대한항공을 위해 기간을 연장하고, 수의계약 수순이 밟는 것 아닌가 의심스럽다"며 "전 조합원과 시민사회가 연대해 대한항공 인수를 막아내겠다"고 밝혔다.
KAI사측은 "사측이 M&A를 추진하는 것이 아니어서 뚜렷한 입장을 내놓기 어렵다"며 "31일 예비입찰제안서 마감 때까지 기다려봐야 한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전했다.
카이 다니시는 친척얘기로는 노조가 물러터져서 많은 일들이 일어난답니다.
카이의 경우 주인 없는 회사라 노조가 굉장히 중요한 역활을 해야하는데 지금 그런 역활을 전혀 못하고 사장 눈치만 본답니다. 다행이 올 12월이 노조선거라는데 대부분 조합원이 지금 노조에 대해 엄청난 실망때문에 바뀌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ㅎㅏ네요.